
2022년 제59회 양주별산대놀이 정기공연의 마지막은 제5과장 3경 애사당 법고놀이가 장식합니다. 이번 과장은 서민 생활의 애환과 인신매매 등 당대 사회의 타락상을 보여주는 연희로서, 특히 왜장녀가 추는 배꼽춤에는 인생의 희노애락이 담겨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애사당과 말뚝이, 완보가 북을 치며 재담을 하는 장면이 이 과장의 백미라고 합니다. 사당은 노래와 춤을 팔며 전국을 떠돌아 다니는 전문 연예집단의 여자들을 일컫는데, 애사당은 그 중에서도 어린 사당을 말합니다. 말뚝이가 왜장녀를 불러 딸을 팔라고 하자 왜장녀는 돈 욕심에 어린 딸(애사당)을 팔아넘깁니다. 애사당의 춤이 끝나갈 무렵 말뚝이가 애사당의 북채를 빼앗고, 완보는 법고를 빼앗습니다. 이때부터 완고와 말뚝이 사이에 법고를 둘러싼 재담이 이어..

이번에는 포도부장놀이가 진행됩니다. 이 과장은 당대의 타락한 권력의 한 부분을 풍자한 것이라고 합니다. 늙은 언청이인 양반 샌님이 젊은 소첩을 데리고 사는데, 젋은 관리인 포도부장이 월장을 하여 소첩과 눈이 맞습니다. 이를 눈치챈 샌님이 포도부장을 내쫓은 후 소첩을 어루고 달래며 다시는 바람피우지 않을 것을 다짐받기도 하고, 불안한 마음에 포도부장을 찾아가 꾸짖기도 합니다. 그러나 계속하여 포도부장과 소첩이 놀아나자 샌님이 포도부장을 찾아가 호되게 나무라지만 포도부장이 권력을 이용하여 소첩을 빼앗고 맙니다.

이번에는 양주별산대놀이 제6과장 2경 신장수놀이가 이어집니다. 신장수(신발 파는 장수)가 노장에게 신발을 팔고 신발값을 받으려고 하지만, 결국 노장에게 우롱당하며 외상으로 신발을 팔게 됩니다. 노장은 신발을 먼저 받은 후 신발값을 12월 31일에 주기로 하였으나, 음력 12월은 29일 또는 30일이 마지막 날이므로 음력 31일은 없는 날인 것이지요. 노장에게 속은 것을 알고 화가 난 신장수는 노장에게 신발을 팔 때 슬며시 보았던 소무를 꼬시기 위해 원숭이에게 소무를 후리는 방법을 가르쳐서 소무에게 보냅니다. 하지만 원숭이가 소무를 희롱하기만 한 뒤 그냥 오자 화가 나서 원숭이를 때린 후 쫓아낸다고 합니다. 이 과장은 원숭이가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지요. 아래 보이는 사진에서 신장수가 등에 업고 있는..

이제 본격적으로 제59회 양주별산대놀이 정기공연이 펼쳐집니다. 오늘 공연은 제6과장 1경인데 일명 "파계승 놀이(노장춤)"라고 하지요. 대사 없이 춤사위로만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파계승 놀이는 도에 통달한 늙은 중(노장)이 속세에 내려와서 미색(美色)에 빠져 농탕질(남녀가 음탕한 언행으로 난잡하게 놀아나는 짓)을 하며 파계(破戒 : 불교에서 수행의 덕목으로 삼는 행동 규범을 어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서민 예술인 탈놀이의 핵심 키워드인 '풍자'를 잘 보여주고 있지요. 먼저, 못돼먹은 팔먹중들이 도가 높은 노장을 데리고 온갖 수작을 부립니다. 그런 후 노장을 소무(小巫)에게로 끌고 가서 파계의 구렁텅이에 몰아넣습니다. (팔먹중은 봉산 탈춤,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등에 나오는 여덟 ..

이번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임실필봉농악패의 초청 공연입니다. 화려한 퍼포먼스로 관객의 이목을 사로잡는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며, 경쾌하면서도 웅장한 사운드가 장관입니다. 보는 내내 흥겨운 몸동작이 눈을 즐겁게 하며, 귓가를 울리는 북, 장고, 꽹과리, 징 등의 풍물 소리와 태평소의 날카로우면서도 경쾌한 선율이 몸속으로 파고드는듯합니다. 이번 공연의 안내 자료에 실린 글을 바탕으로 '꿈꾸는 무인도'가 임의대로 약간의 수정과 보완을 하여 임실필봉농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임실필봉농악은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필봉마을에서 400여 년간 전승되어 온 전통 민속예술이자 마을농악입니다. 필봉마을은 전형적인 농촌으로 세시 날 행해지는 당산굿(당산에서 마을 제사를 지낼 때 농악을 ..

본격적인 공연에 앞서 '탈고사'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고사상 뒤에 공연에 사용되는 22개 내외이 가면을 순서대로 배열하는데, '신할아비'와 '미얄할미'의 탈을 연장자 탈이라고 하여 제일 윗자리에 놓고, 연잎과 눈끔적이, 노장 등의 순으로 배열한다고 합니다. 온갖 탈들을 배치한 후 소머리와 돼지다리, 삼색 과일과 북어를 꽂아 놓은 시루떡 등 푸짐하게 제물을 올린 고사상을 차립니다. 그후 집사가 고사문(축문)을 낭독하고, 축문을 태워 재를 하늘로 날려 올립니다. 이후 제주(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장)와 양주별산대놀이 이수자 등이 헌주(獻酒)를 올리고, 기타 관객들 중에서도 희망을 받아 헌주를 올립니다. 이러한 서막고사는 탈에 깃들어 있다고 믿는 신령과 고인이 된 연희자들의 영혼에게 공연하는 동안 연..
- Total
- Today
- Yesterday
- 감
- 포도부장놀이
- 싸리꽃
- 송이
- 구절초
- 최영미
- 양주별산대놀이
- 산수유
- 정호승
- 광화문광장
- 벚꽃
- 창경궁
- 소매물도
- 내 따스한 유령들
- 창덕궁
- 갈매기
- 곰버섯
- 애사당 법고놀이
- 나리공원
- 강원FC
- 최승자
- 봉선사
- 유하
- 낙산사
- 김선우
- 매화
- 류근
- 조용미
- 버들하늘소
- LG twin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