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가 있는 풍경

아아 삶이 / 이경림

꿈꾸는 무인도 2015. 8. 26. 16:51

   아아 삶이

 

  절망이라고 치욕이라고

  말하지 않고 그냥 시름이라고만

  말할 수 있어도 얼마나 좋으리

  시름처럼 순하게 시름처름 아득하게

  깊어질 수 있다면 또 얼마나 좋으리

  시름처럼 천천히 해가 뜨고 시름처럼

  하염없이 늙어가는 나무 아래선

  펄펄 끓는 치욕을 퍼먹어도 좋으리

  노란 평상 위에서 온갖 웬수들 다 모여

  숟가락 부딪치며 밥 먹어도 좋으리

  그때 머리 위로는 한때 狂暴(광폭)했던 바람이

  넓적한 그림자를 흔들며 가도 좋으리

  시름처럼 수굿한 구름이 나무 꼭대기에서

  집적대도 좋으리

 

  그래

  끝이라고 문 닫았다고

  말하지 않고 그냥 시름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또 얼마나 좋으리 시름처럼 따뜻하게

  시름처럼 축축하게 한시절

  뒹굴뒹굴 보낸다면 얼마나 좋으리

  시름의 방 속에서 어른거리는 것들의

  그림자를 보는 일도 좋으리

  문밖에서 휙 지나가는 도둑고양이 같은 시름들

  못 본 척하는 일도 좋으리

  풀섶에서 눈 번득이는 작은 짐승처럼

  그저 고요히 두근거리는 일도 좋으리

 

  그 또한 시름 같은 것

 

   - 이경림 <시절 하나 온다, 잡아먹자> (창작과비평사, 1997)

 

 

  (사진 : 철원 도피안사, 2015.05.25)

 

  '시름'의 사전적 의미는 '마음에 걸려 풀리지 않는 근심이나 걱정'입니다. 아무리 좋게 받아들이려 해도 부정적인 의미로 생각될 수밖에 없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우리네 삶에서 시름이란 없어야 좋은 것이지요. 그렇지만 과연 시름없는 삶이 있을 수 있을까요? 그래서인지 시인은 오히려 적극적인 마음가짐으로 시름을 긍정하려 합니다. 시름을 순하고 아득하게 깊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문밖에서 휙 지나가는 도둑고양이처럼 그저 못 본 척하거나, 고요히 두근거리는 그 무엇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세속의 말처럼 말이지요. 그래도 절망이나 치욕보다는 시름이 자아내는 이미지가 훨씬 부드럽고 인간적인 것만은 분명해 보입니다. 시름없는 삶이 있을 수 없다면, 시름을 기꺼운 마음으로 안고 살아가면 그만이겠지요.

 

'시가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픈 산타 페 / 정한용  (0) 2015.09.02
아마존 / 정한용  (0) 2015.09.02
가을 / 이경림  (0) 2015.08.26
접시꽃 당신 / 도종환  (0) 2015.07.17
눈 오는 날에 / 유하  (0) 2015.07.0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